활용사례

활용 사례
제목 겨울철 동해상에서 대상수렴운이 발달하는 과정과 영동지역의 강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국/내외 국내 작성일 2017-06-30

겨울철 동해상에서 대상수렴운이 발달하는 과정과 영동지역의 강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첨부 이미지

◎ 겨울철 동해상에서 발달된 대상수렴운에 대한 사례연구
겨울철 동해상에서 발달된 대상수렴운(convergent cloud band) 사례로는 2012년 1월 11일, 2012년 1월 29일, 2012년 2월 1일, 그리고 2012년 2월 7일 사례를 분석사례로 선정함. 2012년 1월 11일의 대상수렴운 사례는 중국 내륙지역에 위치한 고기압이 중국 화남지역과 우리나라 서해상, 그리고 동해상으로 확장하고, 일본열도 서해상에 위치한 저기압이 동진하여 빠져나가면서 동해상으로 대상수렴운이 형성된 사례이며, 2012년 1월 29일 대상수렴운 사례는 바이칼호 부근의 고기압이 중국 화남지역과 우리나라 서해상으로 세력을 확장하고, 동해안 지역으로 약한 기압골이 위치하면서 영동지역으로 북동계열의 기류가 형성되어 동해상에 대상수렴운이 발생한 사례임. 2012년 2월1일 대상수렴운 사례는 동해상으로 약한 기압골이 위치하면서 영동지역에 북동계열의 바람이 유입되고, 동해상에 수렴역이 형성될 수 있는 조건이 갖춰져서 대상수렴운이 발생하였고, 2012년 2월 7일 대상수렴운 사례는 바이칼호 부근의 대륙성 고기압이 화북지역과 화중지역으로 세력을 확장하고, 일본 훗카이도 남해상에 위치한 발달된 저기압에 의해 동해안 해상으로 기압골이 위치하면서 동해상에서 강한 한기 이류가 일어나 대상수렴운이 형성된 사례임.
◎ 겨울철 동해상의 대상수렴운과 그 주위의 대류운에 관한 WRF 수치모의 연구
대상수렴운이 발달하는 과정을 보면, 1) 종관 규모 시스템(겨울 몬순)에 의해 북쪽 산맥군으로 차갑고 강한 북서 계열의 기류가 유입됨. 2) 유입된 차가운 기류는 북쪽 산맥군의 지형에 의해 두 기류로 분리됨. 3) 분리된 두 기류는 풍하측(동해 먼 바다)에서 합류하면서 중규모의 강한 하층 수렴역이 조직적으로 형성되며, 이 수렴역에서는 수렴에 따른 강한 상승운동이 존재함. 4) 또한 이 수렴역으로 차가운 공기가 합류되는 과정에서 공기가 상대적으로 따뜻한 해수면을 만나 열과 수증기의 공급을 받아 해수면 근처에서 초단열감율 상태가 되어 불안정해짐. 5) 불안정이 해소되면서 기단변질에 따른 적운 계열의 구름발생을 촉진함에 따라 대류운이 강하게 발달하게 되어 띠 모양의 대상수렴운이 발달하고 조직화됨.
◎ 한반도 지형이 대상수렴운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WRF 민감도 실험
북쪽 산맥군에 의해 동해 중·북부 해상에 걸쳐 대상수렴운이 생성되어지나, 동해 남부 해상 및 일본 열도 앞바다까지 이어지는 대상수렴운의 생성에는 북쪽 산맥군이 직접적인 영향을 거의 미치지 못함. 이것은 동해 중·북부 해상에 위치한 대상수렴운과 동해 남부 해상 및 동해를 마주하는 일본 열도 앞바다까지 이어지는 대상수렴운의 생성 메카니즘이 서로 다름. 시베리아 고기압에서 불어나온 차가운 기류가 지형 고도가 높은 북쪽 산맥군을 만나 두 기류로 나누어지며, 이렇게 나누어진 두 기류는 북쪽 산맥군의 풍하측인 동해 중·북부 해상에서 다시 만나 수렴되면서 대상수렴운이 생성되었음을 확인함. 특히, 북쪽 산맥군이 존재한 실험들(CNTL 실험, TBMT 실험, 그리고 LANDSEA 실험)을 상호 비교·분석한 결과, 태백산맥의 지형이 풍하측인 영동 앞바다 부근에서 단열 압축에 의한 기온 상승으로 난기 이류역을 형성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음. 북쪽 산맥군의 오른쪽으로 우회하여 한반도를 지나는 한기가 태백산맥을 넘어가면서 단열 압축되어 풍하측인 영동 앞바다에서는 난기 이류역이 형성되는 결과를 보임. 대상수렴운의 생성과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핵심적인 요인은 지형 고도가 높은 북쪽 산맥군의 지형 효과이며, 육지와 해양의 열적 대비에 의한 효과는 미미함.
◎ 겨울철 하층 대류운을 영동 해안지역으로 접근하게 하는 기상학적인 요인 분석
북쪽 산맥군의 동쪽우회 기류와 서쪽우회 기류의 역할 및 원산과 속초 부근을 지나는 기류의 역할을 분석하고, 수렴운이 영동 앞바다 쪽으로만 접근하는 사례 그리고 영동지역으로 유입되는 사례를 비교·분석한 결과, 영동 앞바다 부근으로 유입되는 북서 내지 북풍계열의 바람이 적을수록, 그리고 동풍계열의 바람이 영동 앞바다 부근으로 많이 유입될수록 수렴운이 영동 앞바다에 가깝게 위치함. 수렴운이 내륙쪽으로 진입한 경우, 공기덩이는 북쪽 산맥군의 동쪽으로 우회하여 동해상으로 지나 영동 내륙지역으로 이동하는 경로와 영동해안선 지역을 따라 이동하는 경로를 가지는 특징이 있으며, 영동 해안에 근접한 경우, 공기덩이는 북쪽 산맥군의 동쪽으로 우회하여 동해상으로 이동하는 경로는 가지지만 영동 내륙지역까지는 이동하지 않음. 그리고 우리나라 북부지역에서 영동 해안선 지역과 영동 앞바다 부근으로 공기덩이가 이동해오는 경로를 보임.
수렴운이 동해 북부 해상에 위치한 경우, 공기덩이의 이동경로는 북쪽 산맥군을 동쪽으로 우회하는 경로와 우리나라 북부지역을 거쳐 이동하는 경로가 뚜렷하게 구분되며, 두 경로 모두 동해상으로 모이는 경향을 보임. 이러한 기류의 특징이 나타나는 이유는 강한 기온 대조(Temperature contrast)가 있는 지역에 중규모의 고기압이 형성되어 위치하면서 동해상과 우리나라 지역으로 강한 북동 기류가 유입되는 배경을 만들기 때문임. 이에 따라 북한 산맥군의 동쪽우회 기류가 보다 강하게 동해 북부해상을 거쳐 영동지역으로 유입되게 함.

※ 이 보고서는 기상청에서 시행한 기상See-At기술개발사업의 연구보고서 입니다. 

출처 기상See-At기술개발사업 연구보고서(ScienceON 제공)
이전/이후 글
이전글 서울시 주거지역의 건축물 면적 비율에 따른 여름철 주간 지표면온도 영향 분석
다음글 GOCI 자료를 이용한 서울 지역 고농도 미세먼지와 옅은 황사 시 에어로졸 광학적 특성 분석

네팔:지진(2015-05-05)

영상 정보
카테고리 재난재해
위성정보 KOMPSAT-3
생성일 2015-03-24

세부정보

영상 세부 정보
ProductID K3_20150505073608_15817_06161210
국가(영문) Nepal
국가 네팔
지역 Pokhara
레벨 1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