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용사례

활용 사례
제목 딥러닝을 활용한 산불 이미지 생성 모델설계
국/내외 국내 작성일 2024-07-29

딥러닝을 활용한 산불 이미지 생성 모델설계 첨부 이미지

국내의 강원지역, 경상지역 등 대형 산불의 지속적인 발생으로 인명 및 재산피해, 특히 산림의 피해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화산 분화 관련해서는 2000년대에 백두산의 호수인 천지(칼데라) 지역에 헬륨과 수소 등 가스의 방출이 큰 폭으로 증가하는 등 화산 분화 가능성이 증대되고 있다. 국내의 휴화산은 언제라도 분화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존재하고 있다. 이에 산불 및 화산 분화시 화염원에서 발생하는 적외선 신호의 원리에 대해 연구하였다. 또한, 대형 산불 및 화산 분화시 이미지 분석을 위해 KOMPSAT(Korea Multi-Purpose SATellite)-3A, Sentinel-2A, Google EARTH, Chullian-2A 등위성 이미지를 활용하였다. 산불이나 화산 분화 분석을 위한 광학이나 적외선위성 영상 이미지는 데이터 세트의 양이 부족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산불 및 화산 분화 이미지 분석 등 각종 목적에 적합한 영상을 얻기 어렵다는것이다. 이러한 제한사항은 딥러닝을 이용해 부족한 데이터 세트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다. 딥러닝은 대량의 데이터를 처리하여 원하는 연구를 수행할 수 있으며 다양한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딥러닝을 사용하여 산불 및 화산 분화 이미지 분석에활용할 수 있는 CycleGAN(Cycle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을 활용한산불 이미지 생성 모델을 구축한다. CycleGAN은 페어링되지 않은 데이터 세트를이용하여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이다. 원본 광학이나 적외선 이미지와 유사한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어 산불 이미지 분석에 활용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 결과CycleGAN을 활용한 원본 이미지와 유사한 강릉지역의 산불 이미지를 생성할수 있었다. 산불 이미지 생성 모델의 정밀도를 비교하기 위해 평가지표를 이용하여 양적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생성된 산불 이미지는 실제 산불 이미지와 유사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평가지표인 SSIM(Structural Similarity Index ii Measure)과 PSNR(Peak Signal-to-Noise Ratio)를 이용한 정밀도를 측정한 결과 생성된 산불 이미지는 원본 적외선 이미지의 특징을 유지하며 원본 광학 이미지의 색상을 적용하여 생성되어 원본 이미지와 유사한 형태를 보이고 있었다. 또한, 강원 및 경상지역 산불 전·후 적외선 이미지를 활용하여 산림 소실률과피해 면적을 산출하였다. 전체 이미지의 픽셀 개수와 산림 픽셀 개수를 이용하여산불 이전과 이후의 산림 소실률, 피해 면적 비율을 계산하였다. 산림 소실률은화재의 집중에 따라 상이한 모습을 보여주었고, 피해 면적 비율은 유사한 형태를 보여주었다.



주제어: 딥러닝, 산불, 화산 분화, 적외선, 이미지, 산림 소실률

출처 아주대학교
이전/이후 글
이전글 KOMPSAT-3와 KOMPSAT-5 SAR 영상을 이용한 토양수분 산정과 결과 검증: 제주 서부지역 사례 연구
다음글 아리랑 5호 위성 영상에서 수계의 의미론적분할을 위한 딥러닝 모델의 비교 연구

네팔:지진(2015-05-05)

영상 정보
카테고리 재난재해
위성정보 KOMPSAT-3
생성일 2015-03-24

세부정보

영상 세부 정보
ProductID K3_20150505073608_15817_06161210
국가(영문) Nepal
국가 네팔
지역 Pokhara
레벨 1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