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항우연, 태양 돛 전개장치 개발 | ||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25-02-13 |
항우연, 태양 돛 전개장치 개발
- 우주 범선 등 무동력·장기간 우주 탐사에 적용 가능 기술 - 가로 10m × 세로 10m의 시제품 전개 시험 성공 한국항공우주연구원(원장 이상철, 이하 항우연) 연구진이 태양풍을 동력으로 항행하는 우주 범선에 적용할 수 있는 태양 돛을 개발했다. 항우연은 지난해 6월부터 ‘태양광 회절 추진 우주 항해 기술 연구’(연구책임자 천이진)를 통해 태양 돛 전개장치 시제품을 개발, 전개 시연에 성공했다고 13일 밝혔다. 태양 돛은 마치 돛단배가 바람을 이용해 항해하는 것처럼 태양이 방출하는 광자를 돛에 반사 시키는 원리로 추진력을 얻어 우주선이 별도의 연료 없이 장기간 우주 공간을 항행하는데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이다. 항우연이 개발한 태양 돛은 가로·세로 각 10m 크기로 2024년 4월 NASA가 발사한 가로·세로 각 9m 크기의 우주범선 ACS3(Advanced Composite Solar Sail System)보다 크고, 두께 12μm의 알루미늄 증착 PET 필름 재질을 적용해 매우 가볍다. 태양 돛을 수납했다가 우주 공간에서 펼치는 역할을 하는 전개장치는 국내 줄자 업체의 기술이 접목돼 가로·세로 10m의 돛을 가로·세로 20cm 내로 접을 수 있고, 높이 31.4cm, 무게 10kg로 제작돼 12U* 큐브 위성에 탑재할 수 있다. * 가로, 세로, 높이가 각 10cm인 정육면체(1유닛) 항우연은 태양 돛 기술을 심우주 탐사뿐만 아니라 지구 저궤도에 존재하는 우주쓰레기(임무종료 위성 파편 등) 문제 해결 기술에도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상철 항우연 원장은 “국내 기술로 개발한 태양 돛 전개장치가 앞으로 우리나라의 심우주 탐사 역량을 높이고, 다방면의 우주 활동에 적용될 수 있도록 창의적인 활용 분야를 연구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이전글 | 2025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 우주항공 분야 창업기업 모집 |
---|---|
다음글 | 다누리, 연장 임무 궤도 진입을 위한 고도 하강 기동 성공 |
2021-06-23
2020-12-02
2020-12-02
지리
2024-08-13
지리
2024-08-13
환경
2024-08-08
2025-01-22
2024-12-16
카테고리 | 재난재해 |
---|---|
위성정보 | KOMPSAT-3 |
생성일 | 2015-03-24 |
ProductID | K3_20150505073608_15817_06161210 |
---|---|
국가(영문) | Nepal |
국가 | 네팔 |
지역 | Pokhara |
레벨 | 1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