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고해상도 광학 위성영상을 이용한 시공간 자료 융합의 적용성 평가:KOMPSAT-3A 및 Sentinel-2 위성영상의 융합 연구 | ||
---|---|---|---|
국/내외 | 국내 | 작성일 | 2022-03-30 |
최근 고해상도 광학 위성영상의 활용성이 강조되면서 이를 이용한 지표 모니터링 연구가 활발히 수행 되고 있다. 그러나 고해상도 위성영상은 낮은 시간 해상도에서 획득되기 때문에 그 활용성에 한계가 있다. 이 러한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서로 다른 시간 및 공간 해상도를 갖는 다중 위성영상을 융합해 높은 시공간 해상 도의 합성 영상을 생성하는 시공간 자료 융합을 적용할 수 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중저해상도의 위성영상을 대 상으로 시공간 융합 모델이 개발되어 왔기 때문에 고해상도 위성영상에 대한 기개발된 융합 모델의 적용성을 평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KOMPSAT-3A 영상과 Sentinel-2 영상을 대상으로 기개발된 시 공간 융합 모델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여기에는 예측을 위해 사용하는 정보가 다른 Enhanced Spatial and Temporal Adaptive Reflectance Fusion Model (ESTARFM)과 Spatial Time-series Geostatistical Deconvolution/Fusion Model (STGDFM)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시간적으로 연속적인 반사율 값을 결합하는 STGDFM의 예측 성 능이 ESTARFM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KOMPSAT 영상의 낮은 시간 해상도로 같은 시기에서 KOMPSAT 및 Sentinel-2 영상을 동시에 획득하기 어려운 경우, STGDFM의 예측 성능 향상이 더욱 크게 나타 났다. 본 실험 결과를 통해 연속적인 시간 정보를 결합해 상대적으로 높은 예측 성능을 가지는 STGDFM을 이 용해 낮은 재방문 주기로 인한 고해상도 위성영상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
출처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이전글 | 아리랑 영상의 효율적 정사보정처리 연구 |
---|---|
다음글 | 한반도 모자이크 영상의 분할 및 분류 정확도 향상을 위한 연구 |
2023-11-14
2023-09-18
2023-09-14
지리
2023-11-28
지리
2023-11-28
지리
2023-11-20
2021-07-14
2023-08-08
2023-06-26
카테고리 | 재난재해 |
---|---|
위성정보 | KOMPSAT-3 |
생성일 | 2015-03-24 |
ProductID | K3_20150505073608_15817_06161210 |
---|---|
국가(영문) | Nepal |
국가 | 네팔 |
지역 | Pokhara |
레벨 | 1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