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다목적실용위성 3A 영상정보의 촬영각과 자세각이 대기 및 지표반사도 산출물에 미치는 잠재 영향: RadCalNet 자료와의 비교실험 | ||
---|---|---|---|
국/내외 | 국내 | 작성일 | 2024-05-13 |
위성 영상정보의 절대 대기보정은 촬영각과 대기조건 변수 등과 같은 여러 입력 자료가 필요하며 이로부터 얻어지는 대기 및 지표반사도 산출물에 대한 검증도 중요한 주제로 부각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 Korea Multi-purpose Satellite-3A(KOMPSAT-3A) 영상정보의 촬영각과 자세각에 따라 산출한 대기반사도와 지표반사도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 도구는 KOMPSAT-3A 영상정보를 위한 절대 대기보정 알고리즘을 지원하는 Orfeo Toolbox 확장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였다. 전체 9개의 KOMPSAT-3A 영상정보로부터 얻은 산출물의 검증은 Committee on Earth Observation Satellite Radiometric Calibration Network 포털에서 제공하는 프랑스 La Crau, 중국 Baotou, 미국 Railroad Valley와 같은 세 곳의 현장 측정 반사도 값을 기준값으로 이용하였다. 실험 결과로 영상정보의 자세각이 모두 일정 범위를 벗어나는 큰 값을 갖는 경우에는 반사도 산출물의 정확도를 감소시키는 영향을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off-nadir 값이 큰 영상정보의 경우는 red 밴드와 near infrared(NIR) 밴드에서 기준값과 대비하여 정확도가 약간 감소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KOMPSAT-3A 영상정보의 촬영각과 자세각 요소가 반사도 산출물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는 모의실험을 포함하여 충분한 영상정보를 이용한 계속 연구가 필요하다. 앞으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하여 촬영각과 자세각에 대한 반사도 성과의일반화 관계모델이 도출되면 이 모델은 KOMPSAT-3A Analysis Ready Data의 체계적인 구축과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한다. |
|||
출처 | 공간정보학회 |
이전글 | KOMSPAT-3 광학 영상과 KOMPSAT-5 SAR 영상정보를 이용한 토양수분도 제작 연구 |
---|---|
다음글 | DInSAR를 이용한 2021년 몽골 Hovsgol 지진 변위 관측 및 역산 |
2024-09-26
2024-09-26
2024-12-02
지리
2025-01-07
지리
2025-01-07
지리
2024-12-16
2024-03-04
2023-08-08
2023-06-26
카테고리 | 재난재해 |
---|---|
위성정보 | KOMPSAT-3 |
생성일 | 2015-03-24 |
ProductID | K3_20150505073608_15817_06161210 |
---|---|
국가(영문) | Nepal |
국가 | 네팔 |
지역 | Pokhara |
레벨 | 1R |